2025-10-21

Debian News weekly contributing

 https://www.debian.org/News/weekly/contributing

 

#use wml::debian::weeklynews::header PAGENAME="기여"
#use wml::debian::translation-check translation="6818995daa5abca0fb79fefc90992c570b47b729"

<p>데비안 프로젝트 뉴스는 기여자가 필요합니다.
데비안 프로젝트 뉴스를 올리는 것은 작은 팀에게는 많은 일이지만, 매주 작은 시간만으로 도울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읽지 않은 메일링 리스트를 읽고 그 스레드를 요약할 사람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또한 <a href="https://planet.debian.org/">데비안 플래닛</a> 및
기타 온라인 리소스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필요합니다.
도움에 관심 있으면, 이 페이지를 끝까지 읽고 시간 내에 <a href="mailto:debian-publicity@lists.debian.org">우리에게 연락</a>하십시오.
</p>

<p>더 많은 정보는 <a href="https://wiki.debian.org/">데비안 위키</a>에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페이지:</p>

<ul>
  <li><a href="https://wiki.debian.org/ProjectNews">Project News 시작 페이지</a>.</li>
  <li><a href="https://wiki.debian.org/ProjectNews/HowToContribute">기여하는 방법</a>.</li>
  <li> <a href="https://lists.debian.org/debian-news/"> debian-news 메일링 리스트</a></li>
  <li>프로젝트 뉴스를 위한 <a href="https://wiki.debian.org/ProjectNews/Guidelines">기초 스타일 가이드라인</a>.</li>
  <li><a href="https://wiki.debian.org/ProjectNews/Workflow">프로젝트 뉴스를 게시하는 데 쓰이는 흐름</a>에 관한 문서.</li>
</ul>

2025-10-20

90Q70006KA

90Q70006KA 이 암호 같은 문자열은? 내가 갖고 있는 Lenovo 미니PC. 여기에 데비안 설치 해서 잘 쓰고 있다. 지금은 단종된 듯.

2025-10-18

git push without password

git push 할 때 비번 입력 안 하게 하려면
ssh-keygen -t ed25519 -C "나의 이메일 주소"

기본경로
cat ~/.ssh/id_ed25519.pub

Debian Salsa 웹사이트에 로그인.

프로필 설정 또는 Settings 페이지로 이동. (찾기 어려우면 돋보기 아이콘 놀러서 ssh 검색)
보통 SSH Keys 또는 User Settings - SSH Keys 와 같은 메뉴를 찾습니다.

Add an SSH Key 버튼을 클릭하고, 키의 이름(Title)을 지정한 다음, 단계 2에서 복사한 공개 키 문자열을 Key 필드에 붙여넣습니다.

Add Key를 눌러 등록을 완료합니다.

https에서 ssh로 바꾸기
git remote -v

git remote set-url origin git@salsa.debian.org:path/to/your/repo.git

그 다음에는 git push 할 때 아이디, 암호 안 물어봄.

Draft translation. Debian Security

 https://www.debian.org/security/

 번역 중.
 
보안 정보

데비안 시스템 보안 유지
최근 권고 사항
보안 정보 출처

데비안은 보안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우리는 모든 보안 문제를 처리하고 합리적인 기간 내에 문제를 수정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경험에 따르면 "모호성을 통한 보안"은 결코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공개를 통해 보안 문제를 더 빠르고 잘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이 페이지에서는 데비안 운영 체제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알려진 보안 허점에 대한 데비안의 현황을 다룹니다.

데비안 프로젝트는 다른 무료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와 많은 보안 자문을 조정하며, 그 결과 취약점이 공개되는 날에 이러한 자문이 게시됩니다. 최신 데비안 보안 자문을 받으려면 데비안 보안 공지 메일링 리스트에 가입하세요.

데비안은 보안 표준화 작업에도 참여합니다:

데비안 보안 권고사항은 CVE와 호환됩니다
Debian은 오픈 취약점 평가 언어(Oval)를 사용하여 보안 정보를 게시합니다

데비안 시스템 보안 유지

무인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최신 보안(및 기타) 업데이트로 컴퓨터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위키 항목에는 무인 업그레이드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습니다.

Debian의 보안 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FAQ와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조언 RSS

다음은 데비안 보안 공지 목록에 게시된 최근 데비안 보안 권고(DSA)입니다.
T는 데비안 보안 추적기 정보 링크이며, DSA 번호는 공지 메일 링크입니다.

language.conf file Debian translation

 Debian Salsa 에 번역 업데이트 할 때

language.conf 파일에 단 한 줄

korean

넣으면 됨.

copypage.pl을 이용해서 번역을 시작하려면 webwml root 디렉터리의 language.conf 파일을 먼저 설정해야 하는데, 그 파일은 번역할 언어를 결정하는데 쓰일 겁니다. 그 파일은 최대 두 줄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줄은 언어명(korean 같은)을 써야하고, 두 번째 줄은 선택적으로 유지보수 번역자의 이름을 쓸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분은 DWWW_LANG 환경변수를 써서 언어명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DWWW_MAINT 환경변수에 여러분의 이름을 넣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번역 유지보수자(Maintainer)로서 wml 파일 헤더에 추가될 겁니다. 셋째로 가능한 방법은 명령행에서 언어명과 필요하면 유지보수자를 -l korean -m "Hong Gildong"와 같이 사용하고 language.conf 파일을 안 쓰는 방법입니다. 스크립트의 다른 기능들도 있는데, 도움말을 보려면 인자를 전달하지 말고 그냥 실행하면 됩니다.

 https://www.debian.org/devel/website/translating

2025-10-16

https://lists.debian.org/debian-project/ or not

데미안 메일링 리스트 여러 종류.

적절한 메일링 리스트 찾아가는 것도 쉽지 않다.


https://packages.debian.org/en/trixie/task-korean

rec: zhcon

Fast console CJK system using FrameBuffer (main program)


https://packages.debian.org/en/forky/task-korean

rec: zhcon

Package not available


https://packages.debian.org/en/sid/task-korean

rec: zhcon

Fast console CJK system using FrameBuffer (main program)


https://lists.debian.org/debian-project/ 에 물어보면 되려나?

2025-10-14

gmail plain text mode

 Turn plain text mode on or off

On your computer, open Gmail.

At the top left, click Compose.

At the bottom of the message, click More options  and then Plain text mode.

Translation of Salsa interface

https://salsa.debian.org/webmaster-team/webwml/-/merge_requests

열기 머지됨 닫힘 전체

여기서 열기는 열림 으로 바꾸는 게 나을 것 같다.

열림 머지됨 닫힘 전체

이렇게 번역을 바꾸려면? 어디에 물어봐야 되려나.

2025-10-13

git commit hash

데비안 문서 번역하면 해시 붙이는데, 번역 이후 워문이 바뀌면?

최근 영문 보고 번역을 하면 되는데 해시는?

git log -1 --pretty=format:"%H" english/원문파일명.wml

이런 식으로 영어 원문 파일의 해시를 찾아서 그것을 번역본에 붙이면 된다.

더 쉬운 방법이 있다.

git log 원문파일명.wml 첫 줄 보면 된다. 결국은 그 얘기가 그 얘기.

2025-10-12

salsa git restart

내 저장소에서 작업 하던 것이 꼬여서 새로운 마음으로 하려면 어떻게 하나?

git clone --mirror https://salsa.debian.org/webmaster-team/webwml.git webwml-mirror-temp

cd webwml-mirror-temp

git push --mirror https://salsa.debian.org/sebul-guest/webwml.git

잘 된 것 확인하고 rm -rf webwml-mirror-temp

새롭게 시작

git clone https://salsa.debian.org/sebul-guest/webwml.git
cd webwml

2025-10-11

xrandr

a

 xrandr | grep '*'

   1920x1080     59.93*+  60.00    60.00    50.00    59.94


m

$ xrandr | grep '*'

   1920x1080     59.93 +  60.00*   60.00    50.00    59.94


xrandr

Screen 0: minimum 320 x 200, current 1920 x 1080, maximum 16384 x 16384

DP-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HDMI-1 disconnected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HDMI-2 connected 1920x1080+0+0 (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 510mm x 290mm

   1920x1080     59.93*+  60.00    60.00    50.00    59.94  

   1920x1080i    60.00    50.00    59.94  

   1680x1050     59.88  

   1280x1024     75.02    60.02  

   1152x864      75.00  

   1280x720      60.00    50.00    59.94  

   1024x768      75.03    60.00  

   832x624       74.55  

   800x600       75.00    60.32    56.25  

   720x576       50.00  

   720x480       60.00    59.94  

   640x480       75.00    60.00    59.94  

   720x400       70.08

GRUB example

GRUB 예시. 무조건 따라하는 게 아니고 본인 환경에 맞게 설정하면 됨.


cat /etc/default/grub

# If you change this file or any /etc/default/grub.d/*.cfg file,

# run 'update-grub' afterwards to update /boot/grub/grub.cfg.

# For full documentation of the options in these files, see:

#   info -f grub -n 'Simple configuration'


GRUB_DEFAULT=0

GRUB_TIMEOUT=5

GRUB_DISTRIBUTOR=`( . /etc/os-release && echo ${NAME} )`

GRUB_CMDLINE_LINUX_DEFAULT="i915.modeset=1"

GRUB_CMDLINE_LINUX=""


# If your computer has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stalled, then you

# probably want to run os-prober. However, if your computer is a host

# for guest OSes installed via LVM or raw disk devices, running

# os-prober can cause damage to those guest OSes as it mounts

# filesystems to look for things.

#GRUB_DISABLE_OS_PROBER=false


# Uncomment to enable BadRAM filtering, modify to suit your needs

# This works with Linux (no patch required) and with any kernel that obtains

# the memory map information from GRUB (GNU Mach, kernel of FreeBSD ...)

#GRUB_BADRAM="0x01234567,0xfefefefe,0x89abcdef,0xefefefef"


# Uncomment to disable graphical terminal

#GRUB_TERMINAL=console


# The resolution used on graphical terminal

# note that you can use only modes which your graphic card supports via VBE/GOP/UGA

# you can see them in real GRUB with the command `videoinfo'

GRUB_GFXMODE=1920x1080


GRUB_GFXPAYLOAD_LINUX=keep



# Uncomment if you don't want GRUB to pass "root=UUID=xxx" parameter to Linux

#GRUB_DISABLE_LINUX_UUID=true


# Uncomment to disable generation of recovery mode menu entries

#GRUB_DISABLE_RECOVERY="true"


# Uncomment to get a beep at grub start

#GRUB_INIT_TUNE="480 440 1"


2025-10-10

Draft. Debian package Korean

Package: task-korean

rec:zhcon 그런데 zhcon 오래도록 유지관리 안 되는 듯. 이거 필요한 건가?

그럼 zhcon 대신 fbterm으로 바꾸려면?

apt source tasksel

# 소스 디렉토리로 이동

cd tasksel-*/

sudo apt build-dep tasksel

해당 파일을 찾아서 수정 tasks/korean.desc (또는 비슷한 이름

korean.desc 파일 수정:

korean.desc 파일을 열어 Packages: 섹션을 수정합니다. 현재 zhcon이 포함된 라인을 찾아 이를 fbterm으로 대체합니다.

dch -i

이하 작성중...


Package: task-korean-desktop

Package: task-korean-gnome-desktop

Package: task-korean-kde-desktop

2025-10-09

ibus Dvorak and Qwerty and Hangul

리눅스 입력기는 ibus
나는 영어 드보락을 쓴다. 그래서 시스템에서도 Dvorak 으로 설정해서 쓴다.
한글은 세벌식.
ibus 로 한영 전환은 Super-space로 한다.
그런데 가끔 qwerty 쓸 때도 있다.
한글과 qwerty 전환할 때는 Shift-space 로
한글과 Dvorak 전환할 때는 Super-space 로
설정방법은?
iBus Preferences 에서 
Advanced 
keyboard Layout
Use system keyboard layout 체크를 안 하는 것이 핵심.
설정 바꾼 다음에는 IM를 restart 해야 적용되는 듯.

Uncheck Use system keyboard layout



National Museum of the World Writing Systems

한글날. 국립세계문자박물관 다녀옴.

세계 여러 나라의 글자를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문자도 있지만 한 때 있었다가 사라진 문자들도 많다. 그 중 한글은 참 독특하다. 다른 문자들은 언제 만들었는지 정확한 시기를 모른다. 그런데 한글은 다르다.

훈민정음 서문

한글도 시대가 가면서 많이 바뀌었다. 전에 있던 글자 중 사라진 글자도 많고. 뜻이 바뀐 것도 많고.
세종대왕이 아니었다면 우리나라는 지금 어떤 글을 쓰고 있을까? 한문? 영어? 일본 글자?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도 반발이 많았고, 일제 시대를 거치며 한글을 못 쓰기 될 위기도 겪었으나 살아남은 한글.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가려면?

전철 타면 인천1호선 센트럴파크 역 3번 출구로 나와 10분 쯤 걸어가면 나온다.

(우) 22004 인천광역시 센트럴로 217(송도동 24-8)

https://mow.or.kr/kor/

Debian task-korean zhcon or fbterm

https://packages.debian.org/ko/trixie/task-korean

zhcon 이 궁금하다.

구글 검색. github 보니 오래도록 변하지 않고 있는 듯. https://github.com/catroll/zhcon/issues/2

그렇다면 task-korean에 zhcon 대신 fbterm 넣는 게 낫지 않을까?

https://packages.debian.org/trixie/task-japanese 보니 zhcon 없고 fbterm 있다.

Console Hangul input output fbterm with uim

요즘 리눅스 괜찮다. 옛날에는 리눅스를 설치했다는 것만으로도 자랑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다. 요즘은 많이 좋아졌다. 콘솔에서 한글 입력하는 건 어떨까? 요즘도 쉽지는 않은 것 같다.

fbterm 쓰면 한글 출력 된다. 한글 입력은?

sudo apt install uim-fep 로 uim-fep 설치하고, fbterm 과 uim-fep 실행

fbterm -- uim-fep -u byeoru

콘솔에서 한영전환은 키보드에 있는 한/영 키로 안 된다. Ctrl-space, Shift-space 도 시도해봤는데 안 된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친 결과.

X Window에서 uim-pref-gtk 실행시켜서 한영전환을 F2 키로 하는데 성공.

한영전환 키 설정

direct 모드에서는 영어만, byeoru 모드에서는 F2 로 한영전환 하면서 쓸 수 있다.

한글 세벌식 쓸 수 있다.

세벌식, 두벌식 설정

direct 모드와 byeoru 모드 전환은 F12로 하게 설정해 두었다.

direct 모드 byeoru 모드 전환

.fbtermrc 파일에서는 자기가 원하는 폰트,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아래 내용은 .fbtermrc 예시.

# Configuration for FbTerm

# Lines starting with '#' are ignored.

# Note that end-of-line comments are NOT supported, comments must be on a line of their own.

# font family names/pixelsize used by fbterm, multiple font family names must be seperated by ','

# and using a fixed width font as the first is strongly recommended

font-names=D2Coding

font-size=16

# force font width (and/or height), usually for non-fixed width fonts

# legal value format: n (fw_new = n), +n (fw_new = fw_old + n), -n (fw_new = fw_old - n)

font-width=8

font-height=20

# default color of foreground/background text

# available colors: 0 = black, 1 = red, 2 = green, 3 = brown, 4 = blue, 5 = magenta, 6 = cyan, 7 = white

color-foreground=7

color-background=0

# max scroll-back history lines of every window, value must be [0 - 65535], 0 means disable it

history-lines=1000

# up to 5 additional text encodings, multiple encodings must be seperated by ','

# run 'iconv --list' to get available encodings.

text-encodings=

# cursor shape: 0 = underline, 1 = block

# cursor flash interval in milliseconds, 0 means disable flashing

cursor-shape=0

cursor-interval=500

# additional ascii chars considered as part of a word while auto-selecting text, except ' ', 0-9, a-z, A-Z

word-chars=._-

# change the clockwise orientation angle of screen display

# available values: 0 = 0 degree, 1 = 90 degrees, 2 = 180 degrees, 3 = 270 degrees

screen-rotate=0

# specify the favorite input method program to run

input-method=

# treat ambiguous width characters as wide

#ambiguous-wide=yes

위와 같이 하면 영어 qwerty 와 한글(두벌식, 세벌식) 쓰는데 지장 없을 듯.

다만, 영어 Dvorak 과 한글을 함께 쓰는 건 미해결.

현재 상태. 쿼티와 한글 쓰는 건 됨. 

Dvorak 상태에서 한글 쓰면 한글 나오긴 하는데 한글이 꼬임.

쿼 상태에서 한글 쓰면 한글 나오긴 하는데 Qwerty 아닌 영어 자판 쓰는 사람은 불편.

여러 방법 시도했으나 아직은 성공 못 함.

관련 이슈 https://github.com/uim/uim/issues/33 댓글 따라가면서 읽어보면 아래 커밋으로 해결되었다고 하는데 나는 모르겠음. 관련 글 https://github.com/uim/uim/issues/145

https://github.com/uim/uim/commit/f28132d48fc443dd73a945464e194a9af2d4bacb

2025-10-07

fbterm fcitx5 retry

fbterm 에 fcitx5로 한글 입력 시도 중.
일단 X 윈도에서는 잘 됨.
문제는 콘솔에서 fbterm 과 함께 쓰려는데 아직은.
좀 더 여러 가지 생각해 봐야겠다.
아직은 어렵다.

WeHappyCh Admin Memo

우리행복한교회 홈페이지 관련 간단한 메모


우리행복한교회 홈페이지: wehappyc.org

회원가입하려면 위 홈페이지에서 JOIN 클릭.

회원레벨은 새싹회원과 성도회원이 있음. 가입하면 새싹회원. 관리자에게 요청하면 성도회원 레벨로 변경가능. 

관리자 페이지는 관리자 페이지 권한 있는 사람만 접속 가능함.

관리자 권한을 받으려면 기존 관리자 중 한 사람에게 요청.


우리행복한교회 관리자 홈페이지: admin.wehappyc.org

관리자페이지 admin.wehappc.org 접속. ID password 입력하여 로그인


* 주일설교 동영상은 유튜브에 올리고 있으며, 우리행복한교회 홈페이지에는 설교 영상 유튜브 링크를 게시.

주일설교 등록방법은

콘텐츠 관리 - 주일설교 - 등록하기

* 영상보기 란에 입력할 사항 주의

유튜브 링크 에서 watch?v= 을 embed/ 로 바꾸어 영상보기 란에 입력

예시

유튜브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3jGYOzSn9jw

영상보기 란에 https://www.youtube.com/embed/3jGYOzSn9jw

아래 화면 참고

클릭하면 큰 이미지 보임

다른 메뉴들은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을 듯. 관리자 페이지 관련 궁금하신 분은 기존 관리자 중 아무에게나 물어보면 될 것임.

fbterm input Hangul and English

리눅스 X Window에서 한글 영어 잘 쓸 수 있다. 콘솔에서는? fbterm 으로 한글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 가능. 한글 입력은? 몇가지 방법이 있을 텐데 나는 uim으로 해결 
fbterm -- uim-fep -u byeoru
하면 한글과 영어를 쓸 수 있다. 입력기 설정은 uim-pref-qt6 또는 uim-pref-gtk 를 쓰면 된다.

Global
한글 입력기(Byeoru)와 직접입력(direct) 전환 키. 기본 설정값(Meta-space)은 동작 안 되어서 시행착오를 거쳐 F12로 바꿈. 

Byeoru
나는 한글 세벌식을 쓰기 때문에 한글 세벌식으로 설정

Byeoru key bindings1
여기서 F2로 한영 전환 가능. 기본 값(Shift-space)으로는 한영 전환 안 되고, 한/영 키 써도 안 됨. 시행착오를 거쳐 F2로 한영 전환 되는 건 확인.
byeoru[BA] 영어 모드, byeoru[B가] 한글 모드.
F12는 쓸 일이 없음. 그럼 F12는 뭐 할 때 쓰면 될까?
한글 입력기, 일본어 입력기 등 여러 개 설치했을 때 그 전환 용으로 쓰면 될 듯.

미해결문제: 영어 Dvorak으로 설정하면 한글 꼬임.
sudo loadkeys us 한 후 fbterm 하면 한글은 안 꼬임. 그러나 영어자판이 쿼티.
현재로는 드보락과 한글을 함께 쓰는 게 안 됨.
X window에서와 console에서 동작이 다른 건지...

해결방법 알고 계신 분은 저에게 알려주셔요.
https://github.com/uim/uim/issues/33 를 읽어보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하는데 나는 아님. 뭔가 또 설정을 해야 되는지 모르겠음.

Various Dvorak

세벌 자판이 여러 가지 이듯 Dvorak 자판도 여러가지.
아래 결과는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다. 자판 배열이 들어있는 파일 경로.

ls -l /usr/share/keymaps/i386/dvorak/
합계 60
-rw-r--r-- 1 root root  145 2021년 10월 26일 ANSI-dvorak.kmap.gz
-rw-r--r-- 1 root root 2692 2021년 10월 26일 dvorak-classic.kmap.gz
-rw-r--r-- 1 root root 3417 2021년 10월 26일 dvorak-de.kmap.gz
-rw-r--r-- 1 root root 2698 2021년 10월 26일 dvorak-fr-bepo-utf8.kmap.gz
-rw-r--r-- 1 root root 5617 2021년 10월 26일 dvorak-fr-bepo.kmap.gz
-rw-r--r-- 1 root root 1257 2021년 10월 26일 dvorak-fr.kmap.gz
-rw-r--r-- 1 root root 1205 2021년 10월 26일 dvorak-l.kmap.gz
-rw-r--r-- 1 root root 2858 2021년 10월 26일 dvorak-lisp.kmap.gz
-rw-r--r-- 1 root root 1202 2021년 10월 26일 dvorak-r.kmap.gz
-rw-r--r-- 1 root root 2279 2021년 10월 26일 dvorak-ru.kmap.gz
-rw-r--r-- 1 root root  911 2021년 10월 26일 dvorak-uk.kmap.gz
-rw-r--r-- 1 root root  784 2021년 10월 26일 dvorak.kmap.gz
-rw-r--r-- 1 root root  720 2021년 10월 26일 mac-usb-dvorak.kmap.gz
-rw-r--r-- 1 root root 2102 2021년 10월 26일 pc-dvorak-latin1.kmap.gz

흔히 qwerty 라 알려진 자판 역시 여러가지 그 중 자주 쓰는 건 아래 파일일 듯.
/usr/share/keymaps/i386/qwerty/us.kmap.gz

2025-10-06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editor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editor

기본 에디터가 나노. 그런데 나는 익숙하지 않아서 vi로 바꿈.

2025-10-05

fbterm uim-fep

fbterm uim-fep 한영 전환. 절반 성공?
한글 세벌식, 영어 Dvorak  전환 은 아직.
loadkeys us 로 qwerty 모드로 해 놓고 fbterm 실행하면 세벌식 배열 제대로 나옴.
loadkeys dvorak 을 하면 세벌식이 꼬이고.
그렇다고 다시 qwerty 를 익히긴 싫고.
uim-pref-gtk 에서 한영 전환 Ctrl-space 해 보았으나 uim-fep 에서 동작 안 함.
시행착오 끝에 Ctrl-\ 로는 한영 전환 되는 것 확인.
문제의 원인은 세벌식이 아니라 Dvorak. 쓰는 사람이 드물어서 그렇지 두벌식과 드보락 사용자도 한글 꼬임은 나타날 듯. 한글 꼬임 해결 방법이 있긴 할 텐데....

벼루


전역 설정
enable input method toggle by hot key 에서 F12 됨.
F12로 direct와 byeoru 전환 가능, F2도 됨. 
Ctrl-\로 byeoru[BA ] byeoru[B가] 전환 가능
direct 에서는 dvorak byeoru[BA ]영어쿼티 byeoru[B가]한글세벌식 되게 설정 방법 연구 중.
Dvorak N Sebulsik i don't know.
Shift-space Ctrl-space Alt-space  등은 동작 안 함.

벼루 1메뉴 F2한영전환

현재 상황. Dvorak을 포기하면 한글 세벌식과 영어 qwerty 가능
loadkeys dvorak
loadkeys us
를 왔다갔다 하며 세벌식과 Dvorak을 교대로 칠 수 있음.
그러나...
이걸 왜 내가 수작업으로 하느냐 이거지.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거 같은데.
아직 못 찾고 있을 뿐.

Before choosuk

추석 앞두고 벌초. 10.2.목 밤에 출발 10.3. 0시 넘어 충청북도 친척집 도착.
그리고 벌초, 그리고 식사.
벌초1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곳이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
개인정보보호법과는 관련이 없다. 개인정보는 산 사람에 대한 것이므로. 그래도 자세한 내용을 누구나 볼 수 있게 하는 건 아니지.

벌초2
그리고 좀 더 올라간 다른 분. 
찾아가는 길이 쉽지 않다. 함께 간 친척분의 도음을 받음.

벌초 후 식사
별초 후 식사는 여기서.
갈비 맛 있게 잘 먹었음.
친척들과 함께.


Solve fbterm errors

fbterm 실행시 에러 해결

1. fbterm can't open frame buffer device
sudo usermod -aG video your_username

~$ sudo usermod -aG video ma
[sudo] ma 암호: 
ma은(는) sudoers 파일에 없습니다.
이번 시도는 관리자에게 보고했습니다.

visudo /etc/sudoers
아래 줄을 추가하고 저장.
ma ALL=(ALL:ALL) ALL
/etc/sudoers 파일을 직접 건드리는 건 보안상 위험.

그 다음에는 
~$ sudo usermod -aG video ma
가능.

2025-10-02

memo uim dvorak hangul issue

알겠습니다! 로마자 모드를 사용하지 않고 Dvorak 레이아웃에서 3벌식 한글 입력을 제대로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데 집중하겠습니다. 이전 답변의 ~/.uim.d/ 기반 커스텀 키맵 설정이 가장 적합한 해결책입니다. 아래는 로마자 모드를 배제하고, ~/.uim.d/를 사용해 Dvorak용 3벌식 키맵을 설정하는 방법을 간결히 정리하고, 추가로 콘솔 환경(fbterm) 최적화 팁을 보강합니다. Debian 13과 uim-byeoru 기준입니다.
해결책: ~/.uim.d/로 Dvorak 3벌식 키맵 설정
1. ~/.uim.d/ 디렉토리 설정

디렉토리 생성 (없을 경우):
bashmkdir -p ~/.uim.d


2. Dvorak용 키맵 파일 생성

파일 생성: ~/.uim.d/dvorak-byeoru.scm
bashnano ~/.uim.d/dvorak-byeoru.scm

아래 내용 추가 (표준 3벌식 키맵을 Dvorak으로 변환, 초성/중성/종성 전체 포함):
scheme;;; ~/.uim.d/dvorak-byeoru.scm
;;; Dvorak 3beol layout for uim-byeoru

(require "byeoru.scm")

;; Dvorak 3beol 레이아웃 정의
(byeoru-define-layout dvorak-3beol
  ;; 초성 (Choseong)
  ("p" (choseong-giyeok . 1))    ; QWERTY 'r' → Dvorak 'p' = ㄱ
  ("f" (choseong-nieun . 1))     ; QWERTY 'e' → Dvorak 'f' = ㄴ
  ("g" (choseong-digeut . 1))    ; QWERTY 'w' → Dvorak 'g' = ㄷ
  ("c" (choseong-rieul . 1))     ; QWERTY 's' → Dvorak 'c' = ㄹ
  ("r" (choseong-mieum . 1))     ; QWERTY 'f' → Dvorak 'r' = ㅁ
  ("o" (choseong-bieup . 1))     ; QWERTY 'd' → Dvorak 'o' = ㅂ
  ("s" (choseong-siot . 1))      ; QWERTY ';' → Dvorak 's' = ㅅ
  ("u" (choseong-ieung . 1))     ; QWERTY 'u' → Dvorak 'u' = ㅇ
  ("h" (choseong-jieut . 1))     ; QWERTY 'j' → Dvorak 'h' = ㅈ
  ("t" (choseong-chieut . 1))    ; QWERTY 'k' → Dvorak 't' = ㅊ
  ("n" (choseong-kieuk . 1))     ; QWERTY 'l' → Dvorak 'n' = ㅋ
  ("e" (choseong-tieut . 1))     ; QWERTY 'i' → Dvorak 'e' = ㅌ
  ("l" (choseong-pieup . 1))     ; QWERTY 'p' → Dvorak 'l' = ㅍ
  ("b" (choseong-hieut . 1))     ; QWERTY 'n' → Dvorak 'b' = ㅎ
  ;; 복합 초성
  ("P" (choseong-ssanggiyeok . 1)) ; Shift+p = ㄲ
  ("G" (choseong-ssangdigeut . 1)) ; Shift+g = ㄸ
  ("O" (choseong-ssangbieup . 1))  ; Shift+o = ㅃ
  ("S" (choseong-ssangsiot . 1))   ; Shift+s = ㅆ
  ("H" (choseong-ssangjieut . 1))  ; Shift+h = ㅉ

  ;; 중성 (Jungseong)
  ("a" (jungseong-a . 1))        ; QWERTY 'k' → Dvorak 'a' = ㅏ
  ("o" (jungseong-ae . 1))       ; QWERTY 'l' → Dvorak 'o' = ㅐ
  ("i" (jungseong-ya . 1))       ; QWERTY 'h' → Dvorak 'i' = ㅑ
  ("j" (jungseong-yae . 1))      ; QWERTY 'g' → Dvorak 'j' = ㅒ
  ("e" (jungseong-eo . 1))       ; QWERTY 'i' → Dvorak 'e' = ㅓ
  ("u" (jungseong-e . 1))        ; QWERTY 'u' → Dvorak 'u' = ㅔ
  ("d" (jungseong-yeo . 1))      ; QWERTY 'y' → Dvorak 'd' = ㅕ
  ("k" (jungseong-ye . 1))       ; QWERTY 'v' → Dvorak 'k' = ㅖ
  ("q" (jungseong-o . 1))        ; QWERTY 'x' → Dvorak 'q' = ㅗ
  ("w" (jungseong-wa . 1))       ; QWERTY ',' → Dvorak 'w' = ㅘ
  ("v" (jungseong-wae . 1))      ; QWERTY '.' → Dvorak 'v' = ㅙ
  ("z" (jungseong-oe . 1))       ; QWERTY '/' → Dvorak 'z' = ㅚ
  (";" (jungseong-yo . 1))       ; QWERTY 'z' → Dvorak ';' = ㅛ
  ("'" (jungseong-u . 1))        ; QWERTY 'q' → Dvorak ''' = ㅜ
  ("," (jungseong-weo . 1))      ; QWERTY 'm' → Dvorak ',' = ㅝ
  ("." (jungseong-we . 1))       ; QWERTY ',' → Dvorak '.' = ㅞ
  ("/" (jungseong-wi . 1))       ; QWERTY '/' → Dvorak '/' = ㅟ
  ("y" (jungseong-yu . 1))       ; QWERTY 't' → Dvorak 'y' = ㅠ
  ("x" (jungseong-eu . 1))       ; QWERTY 'b' → Dvorak 'x' = ㅡ
  ("m" (jungseong-i . 1))        ; QWERTY 'm' → Dvorak 'm' = ㅣ

  ;; 종성 (Jongseong, 초성과 유사)
  ("p" (jongseong-giyeok . 1))   ; QWERTY 'r' → Dvorak 'p' = ㄱ
  ("f" (jongseong-nieun . 1))    ; QWERTY 'e' → Dvorak 'f' = ㄴ
  ("g" (jongseong-digeut . 1))   ; QWERTY 'w' → Dvorak 'g' = ㄷ
  ("c" (jongseong-rieul . 1))    ; QWERTY 's' → Dvorak 'c' = ㄹ
  ("r" (jongseong-mieum . 1))    ; QWERTY 'f' → Dvorak 'r' = ㅁ
  ("o" (jongseong-bieup . 1))    ; QWERTY 'd' → Dvorak 'o' = ㅂ
  ("s" (jongseong-siot . 1))     ; QWERTY ';' → Dvorak 's' = ㅅ
  ("u" (jongseong-ieung . 1))    ; QWERTY 'u' → Dvorak 'u' = ㅇ
  ("h" (jongseong-jieut . 1))    ; QWERTY 'j' → Dvorak 'h' = ㅈ
  ("t" (jongseong-chieut . 1))   ; QWERTY 'k' → Dvorak 't' = ㅊ
  ("n" (jongseong-kieuk . 1))    ; QWERTY 'l' → Dvorak 'n' = ㅋ
  ("e" (jongseong-tieut . 1))    ; QWERTY 'i' → Dvorak 'e' = ㅌ
  ("l" (jongseong-pieup . 1))    ; QWERTY 'p' → Dvorak 'l' = ㅍ
  ("b" (jongseong-hieut . 1))    ; QWERTY 'n' → Dvorak 'b' = ㅎ
  ("P" (jongseong-ssanggiyeok . 1)) ; Shift+p = ㄲ
  ("G" (jongseong-ssangdigeut . 1)) ; Shift+g = ㄸ
  ("O" (jongseong-ssangbieup . 1))  ; Shift+o = ㅃ
  ("S" (jongseong-ssangsiot . 1))   ; Shift+s = ㅆ
  ("H" (jongseong-ssangjieut . 1))  ; Shift+h = ㅉ
)

;; 기본 레이아웃을 Dvorak 3beol로 설정
(set! byeoru-default-layout 'dvorak-3beol)

;; 한글 모드 전환 시 키맵 새로 고침 (Dvorak 반영)
(set! byeoru-refresh-keymap-on-hangul-switch #t)

설명:

위 코드는 표준 3벌식(QWERTY 기준)을 Dvorak 키로 변환한 완전한 매핑입니다.
Dvorak 키는 QWERTY와 다른 위치를 가지므로, 각 자음/모음이 Dvorak의 물리적 키에 맞게 재정의됨 (예: QWERTY 'r'=ㄱ → Dvorak 'p'=ㄱ).
byeoru-refresh-keymap-on-hangul-switch를 t로 설정해 한글 모드로 전환 시 Dvorak 레이아웃을 강제로 반영.
필요 시 /usr/share/uim/byeoru.scm을 참고해 추가 기호(숫자, 특수문자) 매핑 보완.



3. 콘솔 환경 설정 (fbterm 최적화)

콘솔 키맵을 Dvorak으로 설정:
bashsudo dpkg-reconfigure console-setup

"Keyboard layout" → "English (US)", "Keymap" → "dvorak".
UTF-8 인코딩 유지.


fbterm 실행 전 키맵 로드:
bashloadkeys dvorak
fbterm

uim 환경 변수 설정:
bashexport GTK_IM_MODULE=uim
uim-xim --engine=byeoru &


4. 테스트 및 디버깅

uim 재시작:
bashpkill uim-xim
uim-xim --engine=byeoru &

fbterm에서 한글 입력 테스트:

한영 전환 (기본: Shift+Space).
Dvorak 키로 입력 (예: 'p' 누르면 ㄱ, 'a' 누르면 ㅏ 출력 확인).


오류 확인:
bashuim -d

/tmp/uim.log나 stderr로 키매핑 오류 확인.
특정 키가 안 맞으면 ~/.uim.d/dvorak-byeoru.scm에서 해당 키 수정.



5. uim-pref-gtk 보완 (선택)
로마자 모드를 안 쓰더라도 GUI로 설정 보완:

실행:
bashuim-pref-gtk

Byeoru 탭:

"Korean keyboard layout" → "3beol" 확인.
"Refresh keyboard map at each switch into Hangul mode" 체크 (필수, Dvorak 반영).
한영 전환 키 (Shift+Space 등) 확인.


저장 후 uim 재시작.

문제 지속 시

매핑 오류: dvorak-byeoru.scm의 특정 키 (예: 'p'가 ㄱ 대신 다른 글자 출력) 수정.
fbterm 호환성: fbterm 버전 확인 (fbterm --version), 최신인지 확인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fbterm).
로그 공유: 오류 로그나 특정 키 입력 결과 (예: 'p'를 눌렀는데 X 나옴)를 알려주시면 매핑 조정 도움드립니다.

요약
~/.uim.d/dvorak-byeoru.scm에 Dvorak용 3벌식 키맵을 정의하고, byeoru-refresh-keymap-on-hangul-switch를 활성화하면 fbterm에서 한글 입력이 Dvorak 키로 정상 작동합니다. 로마자 모드를 배제했으니, 3벌식 기반으로 정확한 자판 입력이 가능할 겁니다. 추가 질문이나 특정 키 문제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Refresh keyboard map at each switch into Hangul mode

Global settings 탭: "Specify default IM engine" 활성화하고, 기본 엔진을 "byeoru"로 설정.

Byeoru 탭으로 이동:


"Korean keyboard layout"을 "3beol" (또는 "strict3final" 등 사용 중인 레이아웃)로 확인.

중요 옵션: "Refresh keyboard map at each switch into Hangul mode"를 활성화하세요. (한영 전환 시마다 키맵을 새로 고침하여 Dvorak 레이아웃을 반영합니다.)

"Use romaja input" 옵션을 활성화해 보세요. (로마자 기반 입력으로 전환하면 위치 매핑 문제가 사라집니다. Dvorak 문자를 로마자로 입력해 한글로 변환. 예: "annyeong" → "안녕". 한글 자판 학습 중이라면 임시로 유용.)

아직 안 해 봄.

byeoru hangul 3beol with Dvorak issue.

현재 상황. 벼루에서 한글 입력시 드보락과 함께 사용하면 한글 배열이 제대로 안 나옴. 그 문제 해결하려고 시도 중 망함.

같은 문제가 이미 github 에 보고되었다. 결론은 뭐지? https://github.com/uim/uim/issues/33 closed 되었는디? 나는 왜 아직도 같은 문제로 헤매고 있을까? 답은 뭘까?

사실 세벌식 만의 문제가 아니고 Dvorak 자판 쓰면 두벌식 사용자에게도 같은 문제 있을 듯.

아직은 미해결. gemini 설명대로 따라 하다가 uim-pref-gtk 죽는 상황 됨. 어디를 고쳐야 될지 몰라서 환경 설정 초기화

uim-pref-gtk 환경 설정 초기화 방법: .uim.d/ 디렉토리를 다 지우고 uim-pref-gtk 실행하면 기본 파일 자동 생성 됨. 다시 시도해 볼것 아래 내용

~/.uim.d/customs/custom-byeoru.scm

파일에 아래 두 줄 추가

(define byeoru-x-keyboard-layout "us")

(set! default-byeoru-x-keyboard-layout byeoru-x-keyboard-layout)

아래 내용 확인

(define byeoru-refresh-xkb-map-at-switch-on? #f)  ; <-- 이 라인을 찾아 #f 로 설정


~/.uim.d/customs/custom-direct.scm

파일에 

(define direct-x-keyboard-layout "dvorak")

(set! default-direct-x-keyboard-layout direct-x-keyboard-layout)


custom-byeoru-keys1.scm 파일 내용? 아래 내용 있는지 볼 것.

(define byeoru-on-key '("<Alt>Right"))       ; 한글 켜기 (Right Alt)

(define byeoru-on-key? (make-key-predicate '("<Alt>Right")))

(define byeoru-latin-key '("<Alt>Right"))    ; 로마자 켜기 (Right Alt)

(define byeoru-latin-key? (make-key-predicate '("<Alt>Right")))

(define byeoru-conversion-key '("F9"))

(define byeoru-conversion-key? (make-key-predicate '("F9")))

; ... 나머지 generic 키들은 그대로 둡니다.


custom-global-keys1.scm 파일 내용?

2025-10-01

sudo Without entering the password

특정 명령어를 암호 입력 없이 실행하기 예시.

터미널에서 'sudo visudo' 명령을 실행합니다.

2. 파일의 가장 마지막에 다음 두 줄을 추가합니다.
(여기서 YOUR_USERNAME 부분을 실제 사용자 이름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이 설정은 YOUR_USERNAME이 비밀번호 없이 loadkeys us와 loadkeys dvorak를
루트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YOUR_USERNAME ALL=(root) NOPASSWD: /usr/bin/loadkeys us 
YOUR_USERNAME ALL=(root) NOPASSWD: /usr/bin/loadkeys dvorak

[input] can't change kernel keymap table, all shortcuts will NOT work, see SECURITY NOTES section of man page for solution.

[input] can't change kernel keymap table, all shortcuts will NOT work, see SECURITY NOTES section of man page for solution.

에러 날 때 여러 가지 경우가 있는데, fbterm에서 이런 에러가 난다면

sudo setcap 'cap_sys_tty_config+ep' /usr/bin/fb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