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Console Hangul input output fbterm with uim

요즘 리눅스 괜찮다. 옛날에는 리눅스를 설치했다는 것만으로도 자랑할 수 있는 시절이 있었다. 요즘은 많이 좋아졌다. 콘솔에서 한글 입력하는 건 어떨까? 요즘도 쉽지는 않은 것 같다.

fbterm 쓰면 한글 출력 된다. 한글 입력은?

sudo apt install uim-fep 로 uim-fep 설치하고, fbterm 과 uim-fep 실행

fbterm -- uim-fep -u byeoru

콘솔에서 한영전환은 키보드에 있는 한/영 키로 안 된다. Ctrl-space, Shift-space 도 시도해봤는데 안 된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친 결과.

X Window에서 uim-pref-gtk 실행시켜서 한영전환을 F2 키로 하는데 성공.

한영전환 키 설정

direct 모드에서는 영어만, byeoru 모드에서는 F2 로 한영전환 하면서 쓸 수 있다.

한글 세벌식 쓸 수 있다.

세벌식, 두벌식 설정

direct 모드와 byeoru 모드 전환은 F12로 하게 설정해 두었다.

direct 모드 byeoru 모드 전환

.fbtermrc 파일에서는 자기가 원하는 폰트,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아래 내용은 .fbtermrc 예시.

# Configuration for FbTerm

# Lines starting with '#' are ignored.

# Note that end-of-line comments are NOT supported, comments must be on a line of their own.

# font family names/pixelsize used by fbterm, multiple font family names must be seperated by ','

# and using a fixed width font as the first is strongly recommended

font-names=D2Coding

font-size=16

# force font width (and/or height), usually for non-fixed width fonts

# legal value format: n (fw_new = n), +n (fw_new = fw_old + n), -n (fw_new = fw_old - n)

font-width=8

font-height=20

# default color of foreground/background text

# available colors: 0 = black, 1 = red, 2 = green, 3 = brown, 4 = blue, 5 = magenta, 6 = cyan, 7 = white

color-foreground=7

color-background=0

# max scroll-back history lines of every window, value must be [0 - 65535], 0 means disable it

history-lines=1000

# up to 5 additional text encodings, multiple encodings must be seperated by ','

# run 'iconv --list' to get available encodings.

text-encodings=

# cursor shape: 0 = underline, 1 = block

# cursor flash interval in milliseconds, 0 means disable flashing

cursor-shape=0

cursor-interval=500

# additional ascii chars considered as part of a word while auto-selecting text, except ' ', 0-9, a-z, A-Z

word-chars=._-

# change the clockwise orientation angle of screen display

# available values: 0 = 0 degree, 1 = 90 degrees, 2 = 180 degrees, 3 = 270 degrees

screen-rotate=0

# specify the favorite input method program to run

input-method=

# treat ambiguous width characters as wide

#ambiguous-wide=yes

위와 같이 하면 영어 qwerty 와 한글(두벌식, 세벌식) 쓰는데 지장 없을 듯.

다만, 영어 Dvorak 과 한글을 함께 쓰는 건 미해결.

현재 상태. 쿼티와 한글 쓰는 건 됨. 

Dvorak 상태에서 한글 쓰면 한글 나오긴 하는데 한글이 꼬임.

쿼 상태에서 한글 쓰면 한글 나오긴 하는데 Qwerty 아닌 영어 자판 쓰는 사람은 불편.

여러 방법 시도했으나 아직은 성공 못 함.

관련 이슈 https://github.com/uim/uim/issues/33 댓글 따라가면서 읽어보면 아래 커밋으로 해결되었다고 하는데 나는 모르겠음. 관련 글 https://github.com/uim/uim/issues/145

https://github.com/uim/uim/commit/f28132d48fc443dd73a945464e194a9af2d4bacb

댓글 없음:

댓글 쓰기